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복날 날짜

by 노을좋아 2025. 7. 21.

장마가 끝나고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되는 7월, 우리는 ‘삼복’이라는 전통적인 시기를 맞이합니다. ‘복날’이라 불리는 이 시기는 해마다 찾아오는 무더위를 건강하게 이겨내기 위한 지혜가 담긴 우리 고유의 풍속입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초복, 중복, 말복이 돌아오며, 이 기간 동안 삼계탕, 초계국수, 수박, 참외 등의 보양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무더위를 견디는 몸보신 음식 문화는 시대가 바뀌어도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고 있으며, 해마다 달라지는 복날 날짜를 중심으로 다양한 정보들이 쏟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복날 날짜와 삼복의 의미, 복날 음식과 속신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2025년 복날 날짜


2025년 삼복은 다음과 같이 정해졌습니다.

 

 

 

 

 

 

 

 

 

 

 

 

초복: 7월 20일 (일요일)

중복: 7월 30일 (수요일)

말복: 8월 9일 (토요일)

 

삼복은 하지 이후 세 번째와 네 번째 ‘경일’ 그리고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에 각각 초복, 중복, 말복이 배정됩니다.

 

전통적으로 초복은 본격적인 더위의 시작을 의미하며, 중복은 더위의 절정, 말복은 서서히 더위가 물러나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이 세 절기는 대개 10일 간격이지만, 해마다 다르게 월복으로 20일 간격이 되기도 합니다.

 

2025년에는 중복과 말복 사이가 정확히 10일이며, 이 시기가 1년 중 가장 무더운 때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상생활에서도 에어컨 사용량이 급증하고, 냉방 병이나 체력 저하 등의 건강 문제도 함께 나타나기 쉬운 시기입니다. 따라서 복날에 맞춰 몸을 보양하고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삼복더위와 보양식 문화


삼복 기간은 그 자체로 ‘삼복더위’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고온다습한 날씨가 이어지는 시기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은 이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풍부한 영양을 가진 보양식을 즐기는 풍습을 발전시켜왔습니다.

 

대표적인 음식은 삼계탕입니다. 닭 한 마리에 인삼, 마늘, 찹쌀 등을 넣고 푹 끓인 삼계탕은 원기를 회복하는 데 탁월한 음식으로, 복날 식탁의 중심이 됩니다.

 

 

 

 

 

 

 

 

 

 

삼계탕 외에도 닭을 식초 베이스 육수에 넣어 시원하게 만든 초계국수, 수분이 많은 수박과 참외, 그리고 지역에 따라서는 보신탕 등을 즐기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고위 관리들에게 얼음을 나눠주는 ‘빙과 하사’ 풍습도 있었습니다. 이는 더위를 이기고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종의 건강 복지였으며, 민간에서도 얼음을 보관하는 장빙고에서 여름철 음료를 나눠 마시는 문화가 있었습니다.

 

현대에는 실내 냉방 시설의 보급으로 여름철 생활이 과거보다 훨씬 쾌적해졌지만, 여전히 복날 보양식을 챙기는 전통은 살아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전복이나 낙지 등 고급 재료가 들어간 특수 삼계탕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물가 상승으로 인해 가정에서 직접 삼계탕을 만들어 먹는 수요도 늘고 있습니다.

 

복날의 유래와 흥미로운 속신들


삼복의 기원은 음력으로 하지 이후의 ‘경일’과 관련이 있습니다. 경일은 천간 중 일곱 번째에 해당하는 날로, 초복은 하지 후 세 번째 경일, 중복은 네 번째 경일, 말복은 입추 후 첫 번째 경일로 계산됩니다.

 

이는 하늘의 기운과 계절의 흐름을 관찰하여 정해진 것으로, 예로부터 농경사회에서는 이 시기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습니다.

 

복날에는 무더위를 피하고 체력을 보충하는 활동 외에도 다양한 금기와 속신이 있었습니다.

 

복날엔 목욕을 삼가라: 복날에 시내나 강에서 목욕을 하면 몸이 여위거나 병에 걸린다는 속설이 있었습니다. 단, 초복에 목욕을 한 사람은 중복과 말복에도 반드시 해야 한다는 믿음도 있었습니다.

 

복날은 흉일이다: 금이 화(火)에 굴하는 것을 꺼려 복날을 흉일로 여겼습니다. 그래서 이 날에는 결혼, 이사, 병 치료, 씨앗 심기 등을 피했습니다.

 

더위를 이기는 놀이문화: 어린이들과 여성들은 수박과 참외를 먹으며 더위를 달랬고, 어른들은 계곡에서 발을 씻는 ‘탁족’을 하며 무더위를 견뎠습니다. 바닷가 지역에서는 모래찜질로 몸의 습기를 빼내는 방법도 사용했습니다.

 

이처럼 복날은 단순한 기념일을 넘어, 계절 변화에 맞춰 몸과 마음을 관리하고, 공동체 안에서 삶을 조율하는 지혜가 담긴 날입니다.

 

복날엔 건강한 여름나기를 준비하세요


2025년 여름은 예년보다 이른 무더위가 찾아오며, 삼복 기간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복날은 단순히 전통적인 보양식을 먹는 날이 아니라, 계절의 흐름에 맞춰 몸의 균형을 되찾고 여름철 건강을 챙기는 전통적인 슬기입니다. 초복, 중복, 말복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는 여름철 가장 더운 시기로, 체력 저하와 면역력 약화가 쉽게 나타나는 시점이기도 합니다.

 

특히 올해는 초복이 7월 20일 일요일, 말복이 8월 9일 토요일로 모두 주말에 해당합니다. 이는 가족 단위로 외식이나 나들이를 계획하기에 적절한 일정이기도 합니다. 가족과 함께 삼계탕을 먹으며 보양하는 것은 물론, 가까운 계곡이나 바다로 떠나 여름철 정취를 즐기며 더위를 이겨낼 기회를 만들어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또한 최근 삼계탕 재료 가격이 지난해보다 다소 안정된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영계 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오히려 가격이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집에서 삼계탕을 직접 만들어 먹는 것도 충분히 경제적이고 건강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영계, 인삼, 찹쌀, 마늘 등 기본 재료만으로도 훌륭한 보양식이 완성되며, 가족과 함께 음식을 준비하고 나누는 과정에서 여름철의 특별한 추억도 만들 수 있습니다.

 

더위에 지쳐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시기, 삼복을 통해 일상의 리듬을 되찾고 몸을 돌보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냉방기기 사용으로 인한 냉방병이나 무기력함을 삼계탕 한 그릇으로 이겨내고, 전통적인 복날의 의미를 되새기며 건강한 여름나기를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초복부터 말복까지 약 20일간 이어지는 삼복 기간 동안, 현대의 생활 속에서 전통과 건강을 접목한 현명한 보양으로 무더위를 슬기롭게 극복하시기 바랍니다.